본문 바로가기
music

스케일과 모드

by mnmn1 2022. 4. 10.

스케일은 곡에 쓰이는 음을 순서대로 나열한 음계다. 쉽게 말하면 ‘도레미파솔라시도’가 스케일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왜 이런 쉬운 스케일이 실용음악과 실기평가에 포함되어 있던 걸까? 사실 스케일 종류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각 나라마다 악기도 다르고 음악이 다르게 발전됐기 때문에 다양한 스케일이 존재한다. 우리나라만 해도 서양음악이 들어오기 전에는 ‘도레미파솔라시도’ 음계를 쓰지 않았다. 모든 스케일을 다룰 수는 없지만 현재 많이 쓰이는 스케일 위주로 설명하겠다.

 

 

장음계와 단음계

알기 쉽게 C키로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을 살펴보자. 3도 음이 장3도일 경우 메이저, 단3도일 경우 마이너다.

마이너 스케일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C 메이저 스케일
C키 음계
C 마이너 스케일
C 마이너 음계
멜로딕 마이너 스케일
C 멜로딕 마이너 음계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
C 하모닉 마이너 음계

 

 

모드

교회선법이라고도 하는데 전공할 거 아니면 용어 자체에 매달릴 필요는 없다. 그냥 모드(mode)라는 게 있구나 하고 각 모드 이름과 특성을 알아두도록 하자.

 

  1. 계이름 '도'에서 시작 - 아이오니안 모드(Ionian mode)
  2. '레'에서 시작 - 도리안 모드(Dorian mode)
  3. '미'에서 시작 - 프리지안 모드(Phrygian mode)
  4. '파'에서 시작 - 리디안 모드(Lydian mode)
  5. '솔'에서 시작 - 믹솔리디안 모드(Mixolydian mode)
  6. '라'에서 시작 - 에올리안 모드(Aeolian mode)
  7. '시'에서 시작 - 로크리안 모드(Locrian mode)

 

7가지 모드 스케일
각 모드별 스케일

 

그림에서와 같이 C키에서는

C 아이오니안(이오니안)

D 도리안

E 프리지안

F 리디안

G 믹솔리디안

A 에올리안

B 로크리안

이렇게 쓰인다.

 

만약 Em7 코드라면 어떤 스케일을 써야 할까?

G키 에서 Em7 코드 연주할 때는 E 에올리안을 사용하고, D키일 경우 E 도리안을 쓰면 된다.

 

말이 어렵지만 결국 각 조표의 스케일 내에서 연주하는 셈이다.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굳이 모드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솔로 플레이나 작곡 부분에서 좀더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다.

가끔 C키 곡에서 뜬금없이 D코드나 Eb 코드가 튀어나오는 것을 본 적이 있을텐데, 바로 모달 인터체인지 때문이다. C 리디안, C 에올리안에서 가져온 코드들이다. 으뜸음이 아예 바뀌는 조바꿈이 아니라 금세 원래 조표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펜타토닉, 블루스 스케일

 

펜타토닉 스케일
5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펜타토닉 스케일이다.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
마이너 펜타토닉
블루스 스케일
블루스 스케일

 

 

댓글